반응형
화성학에서 각 코드(Chord)마다 기능별로 사용할 수 있는 텐션은 다양합니다. 각 코드의 기능에 따라 사용 가능한 텐션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요 기능 코드 (Tonic Chords)
- I, vi, iii (장조 키에서 주로 사용됨)
- I (Tonic)
- 사용 가능한 텐션: 9, 13
- 예: Cmaj7(9), Cmaj7(13)
- vi (Submediant)
- 사용 가능한 텐션: 9, 11, 13
- 예: Am7(9), Am7(11), Am7(13)
- iii (Mediant)
- 사용 가능한 텐션: 9, 11, 13
- 예: Em7(9), Em7(11), Em7(13)
- I (Tonic)
2. 부 기능 코드 (Subdominant Chords)
- IV, ii, vi (장조 키에서 주로 사용됨)
- IV (Subdominant)
- 사용 가능한 텐션: 9, #11, 13
- 예: Fmaj7(9), Fmaj7(#11), Fmaj7(13)
- ii (Supertonic)
- 사용 가능한 텐션: 9, 11, 13
- 예: Dm7(9), Dm7(11), Dm7(13)
- vi (Submediant)
- 사용 가능한 텐션: 9, 11, 13
- 예: Am7(9), Am7(11), Am7(13) (주로 부 기능 코드로 사용될 때)
- IV (Subdominant)
3. 도미넌트 기능 코드 (Dominant Chords)
- V, viio, V7, viio7 (장조 키에서 주로 사용됨)
- V (Dominant)
- 사용 가능한 텐션: 9, 13 (주로 Major 9, 13)
- 예: G7(9), G7(13)
- V7 (Dominant 7)
- 사용 가능한 텐션: b9, 9, #9, 13, b13
- 예: G7(b9), G7(9), G7(#9), G7(13), G7(b13)
- viio (Diminished)
- 사용 가능한 텐션: b9, 11, b13
- 예: Bdim(b9), Bdim(11), Bdim(b13)
- viio7 (Diminished 7)
- 사용 가능한 텐션: b9, 11, b13
- 예: Bdim7(b9), Bdim7(11), Bdim7(b13)
- V (Dominant)
4. 대리 기능 코드 (Substitute Dominant Chords)
- bII7, bV7 (대리 도미넌트 코드)
- bII7 (Tritone Substitution)
- 사용 가능한 텐션: b9, #9, #11, 13
- 예: Db7(b9), Db7(#9), Db7(#11), Db7(13)
- bV7 (Tritone Substitution)
- 사용 가능한 텐션: b9, #9, #11, 13
- 예: Ab7(b9), Ab7(#9), Ab7(#11), Ab7(13)
- bII7 (Tritone Substitution)
5. 부속 코드 (Auxiliary Chords)
- IV7, ii7 (부속 코드로 사용될 때)
- IV7 (Subdominant 7)
- 사용 가능한 텐션: 9, #11, 13
- 예: F7(9), F7(#11), F7(13)
- ii7 (Supertonic 7)
- 사용 가능한 텐션: 9, 11, 13
- 예: Dm7(9), Dm7(11), Dm7(13)
- IV7 (Subdominant 7)
각 코드마다 사용할 수 있는 텐션은 다양하며, 이는 곡의 분위기와 스타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텐션의 사용은 코드의 기능을 강화하고 화성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중요합니다.
반응형
'화성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학 이론] C를 토닉으로 한 모드별 음계 (0) | 2024.06.27 |
---|---|
[화성학 이론] 모드별 느낌과 특징 (0) | 2024.06.26 |
[화성학 이론] 모드별 코드의 기능 (0) | 2024.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