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문화의 보편성, 판타스마고리아phantasmagoria
리비스는 문화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입장에 서 있으며 이 점에서 아놀드와 유사하다. 리비스주의자들은 과거 황금시대의 문화(17세기 민중문화)를 동경하면서 이 시대의 문화에 담긴 판타스마고리아(phantasmagoria)를 강조하였다. 판타스마고리아는 잠-꿈-각성의 구조를 갖는데, 잠은 현실 모순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꿈은 예전의 아름다움에 대한 어렴풋한 동경, 각성은 꿈을 통해 현실의 변화를 생각하는 단계이다. 리비스주의자들에 의하면 황금시대의 문화는 산업혁명으로 인해 발생한 대량문화에 의해 파괴되었다. 그들은 언어의 질적 저하에 대해 비판하면서 고전주의 문학을 강조하고, 교육을 통해 대량문화의 야만성에 맞서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반응형
'정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먼드 윌리엄스 사상 개요 (0) | 2016.08.24 |
---|---|
피에르 부르디외 사상 개요 - 아비투스habitus (0) | 2016.07.28 |
[쉽고 빠른 이해] 랑그와 파롤, 시니피에와 시니피앙이란 무엇인가? (0) | 2016.07.18 |
매튜 아놀드 사상 개요 -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지적 엘리트 중심주의 (0) | 2016.07.13 |
미셸 푸코 사상 개요 - 배제, 권력으로서의 지식, 에피스테메episteme (0) | 2016.07.11 |
댓글